Language
Menu

요약요약

Overview

대구시 소개

인구 248만명
면적 883.56㎢
행정구획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의 7구1군
시의 나무 전나무
시의 꽃 목련
URL 대구시 web 사이트:
http://www.daegu.go.kr/
대구관광 web 사이트:
http://tour.daegu.go.kr/

서울 부산에 이어 한국 제3의 도시입니다. 한 때는 사과로 유명한 도시로서 맛이 있는 사과를 많이 먹은 미인이 많다고 해서 「사과와 미인의 도시」라고도 불렸으며, 최근에는 한국의 내륙도시로는 처음으로 경제 자유구역으로 지정되어, 첨단의료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등 글로벌 지식도시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산업

섬유산업, 기계금속, 자동차 부품, 모바일, 의료 등의 산업이 발달하고 있습니다. 근년에는 「글로벌 지식경제도시・대구」라는 비전을 게양하고 지식산업도시, 그린성장도시, 교육문화도시로서 눈부신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교통 시스템

대구 국제공항이 있어 국내외 이동이 편리합니다. 또한 도시철도는 지하 2개, 지상(모노레일) 1개 등 3개 노선이 있습니다. 한국고속철도(KTX)로 서울역까지 약 100분, 부산역까지 50분으로 갈 수 있습니다.

역사

약 2만년 전 구석기 시대의 유물인 좀돌날석기가 월성동에서 발견되는 등,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살고 있었던 지역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경상감영이 설치(1601년)되어, 행정, 교통, 군사, 문화의 중심도시로 크게 번성했습니다.

풍토

금호강과 그 지류인 신천이 시내를 흘러 북쪽은 팔공산, 남쪽은 대덕산에 둘러 쌓인 자연이 아름다운 땅입니다. 내륙의 분지에 위치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나무심기를 통해 녹색도시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관광

경상도의 중심지였던 대구에는 동화사, 불로동고분군, 달성 등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또한 산과 강 등의 자연이 넉넉해서 관광자원이 풍부합니다.

페스티벌
컬러풀축제(5월), 치맥축제(7월), 국제뮤지컬페스티벌(6월-7월), 국제오페라축제(10월-11월), 포크페스티벌(8월) 등 다채로운 문화예술 행사를 개최하여 공연문화도시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more

특산품

한국 최대의 섬유와 안경 산업도시로, 「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와 「대구국제안경전」에는 세계 각국에서 유명 바이어들이 방문합니다.

박물관

월곡역사박물관,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향토역사관, 한국영상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계명대학교박물관, 경북대학교박물관, 대구약령시한의학박물관, 대구스포츠기념관, 방짜유기박물관, 국립대구과학관, 대구미술관

대학

대학:
경북대학교、영남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문대학:
계명문화대학, 대구공업대학, 대구보건대학, 대구수성대학, 영남이공대학, 영진전문대학, 대구과학대학

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 Ⅵ대학, 한국폴리텍대학 섬유패션 캠퍼스

more

문화 예능

영화 촬영지로도 잘 알려지고 있습니다. 『꽃보다 남자 한국판』은 대구시내 계명대학교 성서 캠퍼스에서 촬영했습니다. 또한 장근석, 소녀시대의 윤아가 주연한 『사랑비』도 시내의 명소에서 촬영되어 화제가 되었습니다.

문화・예술・역사 스팟

팔공산

경상감영공원

대구약령시

비슬산、동성로、서문시장、달성공원、대구타워、대구 스타디움

명물 요리

따로국밥

찜갈비

뭉티기

누른국수、무침회、떡볶이、막창구이、복불고기、야끼우동、납작만두

파트너 도시 소개

팔공산

갓바위로 유명하고, 옛부터 영험이 뚜렷한 산으로 지금도 동화사, 파계사, 은해사 등 많은 사찰이 존재합니다. 대구의 피서지로서도 유명한 곳입니다.

경상감영공원

1601년 조선 선조 때 경상감영이 있던 곳입니다. 경상감영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선화당과 관찰사 처소로 쓰이던 징청각을 중심으로 역사적인 유산이 남겨져 있습니다. 지금은 공원으로서도 시민들의 많은 사랑은 받고 있습니다.

대구약령시

300년이상의 전통이 있는 한약 시장입니다. 2의 한약국, 16의 한의원, 79의 한약업사, 15의 인삼사, 26의 한약방 등이 북적이는 동양의학의 전통을 엿볼 수 있는 시장입니다. 약령시의 역사를 소개하는 약령시 한의약박물관도 있으며, 매년 5월 한방문화축제가 열려 다채로운 볼거리를 선사한다.

따로국밥

국밥은 국물에 밥이 들어가 있는 요리를 가리키지만, 따로국밥은 「따로」의 이름대로 밥과 국물이 따로 나옵니다. 국물은 주로 쇠고기, 파, 무, 마늘, 고춧가루 등을 끓인 것으로 맵고 깊은 대구의 맛입니다.

찜갈비

「「찜」은 「찌다」의 뜻. 소갈비를 고춧가루와 마늘 등으로 양념하고 알미늄 냄비에서 푹 찐 요리입니다. 더운 기후의 대구에서 탄생한 향토요리입니다.

뭉티기

얇게 선 육회를 참기름, 마늘, 고춧가루 등을 섞은 양념으로 먹는 요리입니다. 참기름으로 먹는 지역은 대구말고도 국내에 많이 있지만 이 양념은 대구 특유입니다.

요약

このエントリーをはてなブックマークに追加
ページトップへ